영화 아이오 라스트 온 어스 이오, 진정한 미래는 사랑이다.(레다, 트로이전쟁, 오디세우스) IO, 2019 넷플릭스 결말 해석 후기 리뷰

라스트 온 어스/아이오/이오

IO, 2019

 

 

<<정보>>

 

Elle Fanning/Diego Luna 캐스팅되었다 보류된 후, ‘마가렛 퀄리 Margaret Qualley’ ‘안소니 마키 Anthony Mackie’ 캐스팅되었다.

 

연출 ‘조나단 헬퍼트 Jonathan Helpert’ 메가폰을 잡았다.

 

해외 4.8 평점 기록하고 있다.

 

<<개인평가>>

 

진정한 미래는 사랑이다.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엑소더스프로그램에 참여해 우주로 떠난 이들과 달리 지구에 홀로 남아 연구를 해오던 샘은 마이카를 만나게 되는데..

 

‘미래는 별에(우주) 있다.’ 광고문구, “인간은 변할 수 있다.(진화)” 샘의 언급이 주제를 드러냈다 볼 수 있다.

 

 

1.지구(고향)=사랑, 환경파괴/고립(상실)/생존본능(죄책감)=욕망

 

인류가 환경파괴로 지구를 떠나 우주에 머물렀다는 것, 이 지구는 인류에게 있어 고향이 되는 것으로(내면의 안식처=사랑), 인류는 절망에(사랑을 잃은 욕망) 빠졌단 의미가 되는 것인데, 이 원인은(환경파괴->지구를 잃다) 무엇이었을까..?

 

자연의(지구) 자체적인 자정작용(정화) 보다 빠르게 진행된 환경파괴, 이 환경파괴는 인간의 욕망에서(자연을 고려치 않은 환경개발=나만 생각한 욕망) 비롯된 것으로, 결국은 인간의 욕망이 스스로를 절망으로 내몰았다(고향인 지구를 잃다)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큰 틀에서 인류가 마주한 절망이고(환경파괴->고향잃다), 세부적으로 보면 부모를 모두 잃은 후(사랑잃다) 홀로 고립(기댈 곳 없는 절망) 속에 살아온 샘, 병든 아내를 간호하다 자신이 살기 위해 식량을 숨겨둔 뒤(생존본능=가장 밑바닥의 욕망), 아내가 죽자 죄책감(스스로증오=욕망) 속에 살아온 마이카의 모습은, 개개인의 절망으로 큰 틀의 절망과 동일시 된다 볼 수 있다.

 

광고판에선 인류의 미래가 우주에 있다 했고, 지구와 같은 별을 찾아 탐험을 계획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지만, 인류가 욕망을 버리지 않는 한 새로운 터전을 찾는다한들 지구와 같은 전철을 밟을 수밖에 없는 것으로써, 결코 미래가 우주에 있는 것은 아니었다.

 

미래는..?

 

 

2.미술관(감성)/희생=사랑, 자녀=미래, 여왕벌=샘, 레다->헬레네->트로이전쟁->오디세우스

 

절망에 놓였던(고립/죄책감) 샘과 마이카가 서로 의지하게 되면서(사랑) 절망에서 벗어난 것, 나아가 그간 자신의 몸에 오염물질로 면역력 테스트를 해온(희생=사랑) 샘이 지구를 떠나기로 한날 미술관을 찾아(감성=사랑) 마스크를 벗어 보이며(희생) 꿈이 실현되는지를 직접 확인함으로써, 인류에게 절망에서 벗어날 열쇠를 주었고(면역력을 갖다=진화하다), 샘과 마이카의 사랑의 결실인 자녀가(미래) 오염된 대기에 완전히 적응했다는 것은, 결국 미래는 우주가 아닌 사랑에 있음을(나를 버리는 희생으로 우리=자연을 생각하다)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샘이 양봉을 해온 것은, 벌이 오염된 대기에 적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었던 것, 본질적으론 벌 자체가 꽃씨를(생명) 나르는 생명을(사랑) 상징하는 것으로, 이미 적응한 식물에 이어 벌이 오염된 대기에 적응해 꽃씨를 나른다면 자연히 퍼져나갈 식물로 정화작용이 이루어져 대기가 좋아질 수밖에 없던 것이기에, 오염된 대기와 마주했음에도 살아남은 여왕벌이 존재한 것은 벌 또한 적응해 머지않은 미래 대기도 정화될 것이란 복선이 되는 것이며, 이 여왕벌의 배에 일벌과 다른 문양이 있었고, 샘 또한 배에 면역력 실험으로 상처가 존재했다는 것은, 샘이 곧 인류를 생명으로 이끌 여왕벌과 다르지 않음을 비유한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샘이 박물관을 찾아 바라본 신화 속 레다의 그림이 의미하는 바는, 레다가 제우스의 유혹에(욕망) 넘어가 헬레네를 잉태함으로써 훗날 트로이전쟁을(서로를 죽고 죽이는 지옥) 만들어냈듯, 인류 또한 욕망에 의해 지구를 잃어갔다는 의미(트로이전쟁), 나아가 그 전쟁을 종식시킨 것이 오디세우스의 트로이목마였고 이후 10년간의 방황 끝에 집을 찾은 오디세우스의 여정은, 방황에(절망) 놓였다 사랑을 찾음과(내면의 안식처=집) 동시에 인류의 희망으로 자리한 샘을 비유했다 볼 수 있다.

 

 

연출, 배우

 

유전자를 물려 받은 자녀가(사랑의결실) 오염된 대기에 적응한다는 설정은 ‘인 더 더스트’와 다르지 않다. 신화에 대한 비유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인 더 더스트(2018)

 

사랑/욕망

http://blog.naver.com/camoju/221109312288

 

-인물 리뷰

마가렛 퀄리   안소니 마키   대니 휴스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