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나무 위의 소년들, 희망을 버리지 마라. Boys in the Trees, 2016 결말 해석 후기 리뷰

나무 위의 소년들

Boys in the Trees, 2016

 

 

<<정보>>

 

‘토비 월레스 Toby Wallace’ ‘걸리버 맥그레이스 Gulliver McGrath’ ‘밋지 룰만 Mitzi Ruhlmann’ 등이 출연하고 있다.

 

연출/각본 ‘니콜라스 베르소 Nicholas Verso’ 메가폰을 잡았다.

 

해외 6.3 평점 기록하고 있다.

 

<<개인평가>>

 

희망을 버리지 마라.

 

불량써클의 일원이 되어 사진작가의 꿈까지 잃어갔던 코리는 옛 친구 조나와 함께 하며 변해가게 되는데..

 

“전엔 두려움보다 모험심이 있었다.” 조나의 언급이 주제를 드러냈다 볼 수 있다.

 

 

1.죄책감/자살(자해)/공허함/폭력성(증오)/허상(TV/라디오)/늑대(약육강식)=욕망

 

어린 시절엔 누구보다 할로윈데이를 즐겼었으나 이젠 두려움에(욕망) 사로잡힌 것은 물론 불량써클의 일원이 되어 약물/술(욕망)에 절어, 또 친구들을 괴롭히며 사진작가란 꿈까지 잃었던 코리, 이 두려움/약물/술/괴롭힘(욕망)은 코리의 삶이 절망에 놓였음을 드러낸 것인데, 이 원인은(코리가 꿈을 잃은) 무엇이었을까..?

 

어린 시절 함께 놀던 조나의 위험을(아동성범죄=욕망) 외면한 채 홀로 도망치게 되면서, 코리의 내면엔 사랑이 아닌 욕망이(죄책감=스스로증오) 자리해 불확실한 어둠(미래)에 대한 두려움에(스스로에 대한 믿음=사랑이 있다면 두려움은 없다) 사로잡혔던 것이고, 불량써클이란 늑대무리가(약육강식=욕망) 되어 방황에까지(미래=스스로를 잃다) 놓이게 된 것이었다.

 

코리만 그러했을까..?

 

어린 시절 유일한 친구 코리의 외면으로 아동성범죄 피해자가 되었고, 그 트라우마로(절망=과거에 갇히다) 따돌림의 대상이 되어 자해/자살에까지(절망) 이르렀던 조나, 자신의 폭력성으로(세상을 향한 증오=욕망은 부모에게서 비롯되었을 것) 친구(사랑) 코리를 잃어갔던 장고, 늘 집을(집에 정적만 있던 것은 허상에 사로잡힌 부모의 욕망=공허함을 강조) 떠나는 꿈을 꾸었던 로마니, 이 모두는 욕망이(부모에게서 비롯되거나 자신이 택한) 상대와 자신을 타락시켰단(사랑 잃은 절망)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코리의 아버지가 라디오에 의지해 잠을 청한 것, 조나의 아버지 외 많은 이들이 TV에(허상=욕망) 종속된 것은, 꿈을(순수한열정=사랑) 잃은 절망을 드러낸 것으로써, 머지않은 코리의 미래를 상징했던 것이나, 코리는 벗어났을까..?

 

 

2.대화=감성, 사진기=꿈

 

어린 시절 사건 이후 대화가 끊겼던 코리와 조나가 대화를 하면서(감정교류), 과거에 해왔던 게임을 함께 해갔다는 것은, 잃었던 감성을(꿈=사랑) 찾아갔단 것이고, 이 사랑을 통해 자살을 택한 조나는 어둠에 흡수되지 않고 천국으로, 코리는 늑대무리(불량써클)/방황에서 벗어나 미래로 나아갈 수 있었단(할로윈데이를 즐기며, 사진작가란 꿈을 향해 뉴욕대학으로 향하다)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폭력성을 반성함으로 다시 친구가 되었던 장고와 코리(장고가 잃었던 사진기를 코리에게 건넨 것은, 꿈=사랑을 강조), 공허했던 집에서 벗어나 캐나다로 향한 로마니도 다르지 않다.

 

즉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절망)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사랑이란(스스로에 대한 믿음/우정/연인..) 것..

 

 

연출, 배우

 

고향/집을 막연히 절망으로 그려낸 것은, 근본적인(부모의 욕망에서 비롯된) 해결책이 아니라 아쉽다.

 

사랑/욕망

http://blog.naver.com/camoju/221109312288

 

-인물 리뷰

걸리버 맥그레이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