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7월22일 22 줄라이, 두려움보다 강한 것은 사랑이다.(우퇴위아, 노르웨이테러) 22 July, 2018 넷플릭스 결말 해석 후기 리뷰

7월22일 22 줄라이

22 July, 2018

 

 

<<정보>>

 

‘앤더스 다니엘슨 리 Anders Danielsen Lie’ ‘존 오이가르덴 Jon Oigarden’ 등이 출연하고 있다.

 

연출/각본/제작 ‘폴 그린그래스 Paul Greengrass’ 메가폰을 잡았다.

 

해외 6.7 평점, 제작비 2천만 달러가 투자되었다.

 

<<개인평가>>

 

두려움보다 강한 것은 사랑이다.

 

1차 노르웨이정부청사 폭탄테러(사망8명), 2차 우퇴위아 다문화청소년캠프학살(사망69명) 저지른 확신범 아네르스는 법정에서 행위의 정당성을 주장하려하는데..

 

“왜 아이들을 노렸나? -가장 아픈 부분을 망가트리려했다.” 아네르스의 언급, “혼자인 저자와 달리 저에겐 가족, 친구들, 꿈.. 있다.” 빌야르의 언급이 주제를 드러냈다 볼 수 있다.

 

 

1.아이=미래, 증오/테러/고립=욕망

 

정부청사테러로 행정부를 마비시킨 뒤, 다문화청소년캠프의 아이들을(미래) 학살한 아네르스는 자신의 행위가 다문화사회로 흘러가는 잘못된 현실을 바로잡기 위함이라 했으나, 과연 아네르스의 생각처럼 외부의 문을 걸어 잠그는 고립(내나라->내민족->나자신)이 미래였던 것일까..? 아이러니하게 아네르스의 모습에서 그 미래를 확인할 수 있다.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 후 아비와는 단절, 함께하던 어미와도 대화 없이 지냈던 아네르스가 성인이 될 때까지 고립된(기댈 곳 없는 절망) 생활을 해오다, 편협함에(욕망) 사로잡혀 아이들을 죽인 괴물이(욕망의 노예) 되어간 것은, 아네리스의 생각과 달리 사회의 고립은 미래를 타락시킨단(괴물이 된 아네르스처럼)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아네르스의 테러 후, 변호를 맡은 예이르를 비롯해 사회가 서로를 불신/증오(욕망)하게 된 것이 바로 아네르스가 바랐던 결과인 것, 즉 사람들은 테러란 두려움에(욕망) 굴복해 불신/증오에(고립=욕망) 빠져들었던 것이다.

 

벗어날 방법은..?

 

 

2.빌야르=미래

 

한쪽 눈을 잃고 신경을 다쳐 다리를 절었던 빌야르를 비롯해 많은 아이들과 사회는 친구/가족/연인(사랑)을 잃은 트라우마로(과거에 갇히다) 아네리스가 바랐던 절망에(현실증오) 빠져들었으나, 그런 이들이 서로를 의지하게 되면서(사랑), 특히 자살까지 생각했던 빌야르가 가족/친구들의 응원에 목발을 집어던지며 홀로 일어선 뒤, 법정에 서서 아네르스와(두려움) 마주해다는 것은, 사랑으로 절망을(아네르스의 테러) 극복했다는 의미, 다시 말해 미래는 고립이(나만 생각한 아네르스) 아닌 사랑에 있단(서로를 의지한 빌야르/사회)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엔딩서 서로를 의지한 빌야르와 달리 의지할 사람이 없던 아네르스는 고립=절망에 놓였단 강조...

 

 

연출, 배우

 

영화는 보스턴테러를 액션으로 그린 ‘패트리어트 데이’보다 ‘스트롱거’처럼 심리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네르스와 빌야르의 모습을 대비시킨 것은 확신범의 논리가 잘못되었음을 드러낸 것..

패트리어트 데이(2016) 스트롱거(2017)

 

사랑/욕망

http://blog.naver.com/camoju/221109312288

 

-인물 리뷰

앤더스 다니엘슨 리   폴 그린그래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