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오늘의 여자 주인공 정보 결말 해석 출연진, 존재이유를 찾아라(데이트게임킬러, 성포식자, 사진, 데이트쇼) Woman of the Hour 2023 넷플릭스

오늘의 여자 주인공

Woman of the Hour 2023

https://youtu.be/jE6QznrRsPk

 

<<정보>>

 

연출/기획/셰릴역 ‘안나 켄드릭 Anna Kendrick’ 연출데뷔작이었는데, 영화에서 그려진 나쁜 경험 중 일부는 직접 경험한 것이었다.

해외 6.8 평점 기록하고 있다.

 

<<개인평가 - 존재이유를 찾아라(데이트게임킬러, 성포식자, 사진, 데이트쇼)>>

 

많은 여성들은 데이트게임킬러로 불린 연쇄살인범의 표적이 되는데..

 

 

1.고립(셰릴/사라/에이미=편견)=욕망(절망), 사진=지배, 데이트쇼=편견

 

많은 여성들이 연쇄살인범의 표적이 되어갔다는 것, 이는 상대의 약점을 노려 지배하려던 성포식자이자 악마의 먹잇감이 되어갔단 의미, 원인은..?

배우를 꿈꿨지만 좀처럼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생활고에 시달린 끝에 원치 않던 데이트쇼에 나갔다 악마 로드니를 만나게 된 셰릴을 비롯해 연인과 이별 후 홀로 아이를 낳아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려 가족에게도 말하지 못하고 혼자가 되어간 사라, 장애에 대한 편견과 함께 어미의 방임, 가정을 버린 아비로 의지할 가족 없이 가출을 했던 십대소녀 에이미, 승무원이란 직업으로 한곳에 정착하지 못한 채 아무런 연고 없는 곳으로 이사를 다녔던 찰리, 나아가 세상의 편견으로 게이란 정체성을 숨기고 지냈던 마리오, 이들 모두는 고립된 환경으로 내몰려 끝내 악마 로드니의 먹잇감이 되어간 것.

다시 말해 어린 시절 아비에게 버려진 트라우마로 아비와 세상을 향한 증오로 악마가 되어간 로드니는, 현실을 비관한 자괴감으로 점차 공허해진 상대의 내면을 잠식한 끝에 살인까지 하게 된 것으로, 결국 내면에 들어선 욕망이 로드니를 악마로 만들고 상대까지 고립으로 내몰아 타락.

로드니가 희생자들의 사진을 전리품처럼 찍어온 것에 이어 사람들에게 그 사진들을 자랑해왔다는 것, 이는 모든 것을 자기 위주로 생각한 극단적 자기애이자 상대를 소유물로밖에 보지 않았던 반사회적인격장애로, 이 본질은 어린 시절의 불행한 환경이 만든 결핍의 투영.

큰 틀에선 친구를 잃은 로라가 경찰에 로드니를 신고한 것을 비롯해 많은 목격자와 생존자들이 증언을 해왔음에도, 로드니가 잡히지 않고 계속 범죄를 저질러 많은 피해를 양산해왔다는 것, 이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대수롭지 않게 여겨온 사회적 편견이 만든 모두의 비극이었던 것이고, 셰릴이 참여했던 데이트쇼가 여성을 하나의 상품으로밖에 여기지 않았던 것도 사회적 편견을 강조, 미래는..?

 

 

2.믿음(셰릴/로라/에이미=존재이유)=사랑(미래)

 

셰릴이 환경에 지배되었다면 로드니의 먹잇감이 되었겠으나, 처음으로 자신의 주장을 펼쳐 맞서게 되면서, 그에게서 벗어날 수 있었고, 로라는 경찰과 연인의 침묵에도 세상을 떠난 친구 앨리스의 억울함을 풀기 위해 홀로 편견에 맞서게 되면서, 마지막 죽음의 문턱에서 깨어난 에이미는 같은 환경에서 성장해 누구보다 로드니를 잘 이해한 공감대 형성으로 시간을 벌어 무사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외침으로 연쇄살인까지 막아냈단 것은, 결국 환경에 주눅 들지 않고 자신의 소리를 낼 수 있었던 믿음이 셰릴과 에이미를 넘어 세상의 미래.

다시 말해 이들은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사회적 편견에 맞서 잃었던 존재 이유이자 자신의 삶을 찾았단 의미로, 엔딩에서 현실을 받아들여 배우의 꿈이 아닌 새로운 꿈을 향해 나아간 셰릴의 모습은 주제를 뒷받침한 반면 로드니의 타락은 앞선 언급처럼 그 환경에 지배되어 인간성을 잃고 악마가 되었단 강조.

 

 

로드니에 대한 의미부여는 아쉬웠으나, 긴장감을 잘 유지했으며, 데이트쇼를 통해 강조한 시대적 편견도 나쁘지 않았다.

#오늘의여자주인공 #WomanoftheHour #넷플릭스

-인물 리뷰

어텀 베스트 니콜렛 로빈슨 켈리 제이클 다니엘 조바토 토니 헤일 안나 켄드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