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킷 리스트
The F**k-It List Fxxk-It, 2020
<<정보>>
‘매디슨 아이스먼 Madison Iseman’ ‘엘리 브라운 Eli Brown’ 등이 출연하고 있다.
연출/각본/제작 ‘마이클 듀건 Michael Duggan’ 메가폰을 잡았다.
해외 5.0 평점, 제작비 5백만 달러가 투자되었다.
<<개인평가>>
나만의 길을 찾아라.
아이비리그 7곳에 합격한 브렛은 기존의 틀을 거부한 채 SNS에 퍼킷리스트를 공유하며 시대의 아이콘이 되어가는데..
1.허상(부모의주장/세상의편견=거짓)=욕망, 자녀=미래
브렛의 부모는 아들이 명문대 졸업 후 좋은 직장에 취직해 살아가는 것이 미래라 여겨, 지난 세월 브렛을 명문대에 보내기 위한 여러 계획을 실천, 과연 이것이 브렛을 위한 길..?
부모가 짜놓은 계획대로 살아오느라 정작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지 못했다는 것, 이는 부모의 뜻대로 움직이는 꼭두각시가 되어(거짓된삶) 죽은 삶을 살아왔단 의미, 다시 말해 아들에 대한 이해보다(사랑) 자신의 주장만을(내관점=욕망) 내세운 부모의 선택이 브렛을 절망으로(자신의 미래 망치다) 이끌었단 의미.
브렛만 그러했을까..?
부모가 이혼한 가정환경과(사랑결핍) 계부의 가정성폭력에 시달려왔지만, 세상에 진실을 드러내지 못한 것은 물론 모델이란 꿈을 이루기 위해 잘못된 길로 들어섰던 케일라, 자신의 성정체성을 부정하며(거짓) 살아온 클린트, 브렛을 키우느라 건축가란 꿈을 잃었던 엄마까지 모두 자신의 본모습을 잃는(거짓/미래잃다) 절망 속에 살아온 것, 미래는..?
2.진실/믿음(자존감)=사랑, 퍼킷리스트=모티브
생전 처음 자신의 뜻대로 일탈을 택했다, 학교가 폭파되는 대형사고를 친 브렛은 그 사건을 계기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하는 퍼킷리스트를 만들어 실천하며 케일라와 사랑까지 이뤄 행복을 찾게 되었고, 기존의 틀을 고집해온 하버드대 또한 그 진실함을 높이 사 브렛을 받아들였다는 것, 나아가 브렛을 통해 용기를 얻은 엄마와 친구들, 많은 팔로워들이 기존의 틀을(부모의주장/사회의편견) 벗어나 자신의 길을 찾아갔단 것은(진실/스스로믿음) 결국 미래는 나 자신에게 진실한 사랑에(스스로믿음=자존감) 있었단 의미.
결과적으로 나 자신을 찾는 과정이 된 퍼킷리스트 자체가 주제를 드러낸 모티브.
연출, 배우
중반까지는 SNS의 폐해 또한 함께 짚어가다 막판에 가서는 장점만 강조했다는 것, 또 퍼킷리스트의 아이콘이 된 브렛은 기존 틀에 대한 저항만 했을 뿐 원하던 꿈이 없었고, SNS란 또 다른 틀에(허상=명성/돈) 의존해 살아갈 것이란 점은 메시지와 모순.
#퍼킷리스트 #TheFuckItList #TheFxxkItList
-인물 리뷰
'영화-Movie > 코미디/뮤지컬/다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슬립오버, 사랑보다 값진 것은 없다. The Sleepover, 2020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0.08.29 |
---|---|
영화 팜 스프링스 Palm Springs 결말 해석 리뷰 (0) | 2020.08.01 |
영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 Eurovision Song Contest: The Story of Fire Saga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0.06.28 |
영화 비트를 느껴봐 Feel the Beat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0.06.27 |
영화 러브버드 The Lovebirds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