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 Eurovision Song Contest: The Story of Fire Saga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

Eurovision Song Contest: The Story of Fire Saga, 2020

 

<<정보>>

 

시그리트역 ‘레이첼 맥아담스 Rachel McAdams’ 노래 파트는 스웨덴 싱어 Molly Sandén 대신해 불렀다.

연출 ‘데이빗 돕킨 David Dobkin’ 메가폰을 잡았다,

영화는 실제 Eurovision Song Contest 기간과 맞춰 5월 공개하려 했지만, COVID-19 여파로 취소되면서 영화는 6월 공개되었다.

해외 6.7 평점 기록하고 있다.

 

<<개인평가>>

나만의 길을 찾아라.

라르스는 오랜 친구 시그리트와 팀을 결성해 꿈에 그리던 유로비전 대회에 출전하게 되는데..

 

 

1.허상(타인의시선=공허함)/고립(말문닫다)=욕망

오로지 대회 우승만을 바라보며 무리한 시도들을 하다 잦은 실패와 함께 꿈을 쉽게 포기한 것은(절망) 물론 늘 곁에서 의지해온 시그리트와도 멀어지게 되었다는 것(사랑잃다), 이는 라르스의 삶이 절망에 놓였단 의미, 원인은..?

라르스가 원곡의 의미보다 무리한 시도들을 해온 것은, 타인의 시선에서 비롯되는(허상) 우승만을 바라보았기 때문, 다시 말해 라르스는 어린 시절 엄마를 일찍 떠나보낸 후(사랑잃다) 자신을 못 미더워하던 아비와 사람들에게서 인정받겠단 생각으로(타인의시선=허상) 대회 우승을 바라보았던 것으로, 라르스가 바라본 대회 우승이란 꿈은 그가 진정으로 원한 순수한 열정이(사랑) 아닌 타인을 의식한 허상이었던 것으로, 그 허상에 집착할수록 라르스는 곁에 있던 시그리트를 잃고, 또 쉽게 좌절할 수밖에 없었단(자신에 대한 믿음이 없어) 의미.

어린 시절 말문을 닫아 사람들과 소통하지 못했던(고립) 시그리트 또한 절망에 놓였던 것, 미래는..?

 

 

2.믿음(자존감)/이해=사랑, 자녀=미래

말을 하지 못했던 시그리트는 라르스와 함께 노래를 하며(감성찾다) 차츰 말을 하게 되었고, 좌절했던 라르스는 아빠가 자신을 못마땅해했던 것이 엄마에 대한 그리움 때문이었음을 깨닫고 서로를 이해하게 되면서(사랑), 또 이젠 타인의 시선이 아닌 사랑하는 시그리트와 함께 할 미래를 위해 다시 무대에 올라 둘만을 위한 노래를 부르며(스스로믿음=자존감찾다) 행복을 찾아갔단 것은, 라르스가 그토록 바랐던 행복/미래는 대회 우승이 아닌(허상) 사랑에(자존감, 의지할 시그리트와 가족) 있었단 의미.

엔딩에서 자녀를 안고 무대에 올라 시그리트와 함께 노래를 부른 라르스의 모습은 사랑의 결실로 얻은 행복을(자녀=미래) 강조.

 

 

연출, 배우

전체적인 설정은 경쟁에 취해 꿈을 잃어가다 과거 영상을 통해 다시 순수한 열정을(사랑) 찾게 되면서 자신의 템포로 연주를 하게 되는 ‘위플래쉬’ 막연한 스타가 아닌 가족을 통해 꿈을 찾게 되는 ‘와일드 로즈’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위플래쉬(2014) 와일드 로즈(2018)

#유로비전송콘테스트파이어사가스토리 #EurovisionSongContestTheStoryofFireSaga

 

https://youtu.be/p6-80ujfENI

 

-인물 리뷰

레이첼 맥아담스 윌 페렐 댄 스티븐스 피어스 브로스넌 데이빗 돕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