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사탄의 베이비시터, 나만의 길을 찾아라. The Babysitter (2017) / 넷플릭스 / 악마의베이비시터 더베이비시터 / 결말 해석 후기 리뷰

사탄의 베이비시터

The Babysitter (2017)

 

 

<<정보>>

‘사마라 위빙 Samara Weaving’ ‘유다 르위스 Judah Lewis’ ‘에밀리 엘린 린드 Emily Alyn Lind’ 등이 출연하고 있다.

 

연출/제작 ‘맥지 McG’ 메가폰을 잡았다.

 

영화는 2015년경 만들어졌으나, 17년까지 개봉되지 못하다, Netflix 스트리밍판권을 구입하게 되면서 발매되었다.

 

해외 6.4 평점 기록하고 있다.

 

<<개인평가>>

 

나만의 길을 찾아라.

 

청소년이 되었음에도 아직까지 베이비시터와 생활했을 만큼 두려움이 많았던 콜(유다 르위스)은 부모님이 여행간 사이 베이비시터 비(사마라 위빙)와 함께하다 그녀가 악마를 숭배한단 사실을 깨닫곤 그들 그룹에게 쫓기게 되는데, 영화는 이를 통해 ‘나만의 길을 찾아라.’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네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아야한다.” 언급이 영화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드러냈다 볼 수 있는 부분이다.

 

 

1.고립/두려움/자괴감=욕망, 집=내면

 

세상을 향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던 것은 물론 친구 하나 없이 늘 집안에 틀어박혀 책에 빠져 지냈던 콜, 여기서 집은 그의 내면을 상징하는 것으로, 콜은 그 누구에게도 의지할 곳 없는 혼자만의 세계인 욕망(고립) 속에 갇혀 버렸다는 의미가 되는 것인데, 과연 이 절망/욕망의 시작점은 무엇이었을까..?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모르는 스스로에 대한 불신(욕망)이자 자괴감(스스로에 대한 증오=욕망)이었던 것으로, 이 욕망이 내면에 자리하게 되면서, 콜은 희망/미래가 존재하지 않는 절망 속에 머물고 있었다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깊이 있게 본 것이고, 매우 간단히 풀어 말하면, 내 꿈/미래가 무엇인지 아직 모르는 청소년의 방황이라 볼 수 있는 것...

 

이처럼 절망/욕망만이 자리했던 콜의 내면이자, 그 내면을 상징하는 집에서 비와 친구들이 악마숭배 의식을 벌이며 콜을 위협해갔다는 것, 이는 눈으로 직면한 외적절망(비일행)을 드러낸 것으로써, 외적절망이나 내면에 자리한 내적절망(자괴감)이나 크게 다르지 않고 동일하단 의미, 다시 말해 콜의 내적절망이 외적절망을 만들어냈다는 의미(우리의 삶은 신념에 의해 좌우된다는 본질)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콜의 나약함이 베이비시터를 필요로 했기에..)

 

그렇다면 콜은 이러한 절망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었을까..?

 

 

2.믿음=사랑

 

늘 당하기만 했던 콜이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스스로에 대한 믿음=사랑을 찾게 되면서, 또 옆집 멜라니(에밀리 엘린 린드)에게서 키스(사랑)를 받게 되면서, 그 절망(내적/외적)을 극복해내게 되었으니, 이것이 갖는 의미는 남녀 간의 사랑이든,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든, 이 본질인 순수한 사랑을 찾게 되면서, 방황에서 벗어나 미래를 바라보게 되었다는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두려움 때문에 자동차운전을 하지 못했던 콜이 처음으로 차를 몰고 자신의 집으로 돌진했다는 것, 이는 내가 가야하는 길(기본적으로 도로는 우리의 인생을 비유)을 찾았단 비유이자, 과거의 절망(내면=집)을 떠나보냈다는 강조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위 내용을 종합하면, 보다 나은 내일을 살아가기 위해선 욕망이 아닌 사랑(스스로에 대한 믿음=이것이 곧 희망이 되는 것)을 쫓으라는 것으로써, 영화에선 사춘기소년을 통해 이 의미를 드러내고 있으나, 방황에는 나이가 존재하지 않기에 누구에게나 이 메시지를 동일하게 적용 된다 볼 수 있을 것이다.

 

 

연출, 배우

 

B급스러움에 메시지와 비유가 잘 녹아들었다 말하고 싶다.

 

욕망에 대한 이해는..

http://blog.naver.com/camoju/221109312288

 

 

-인물 리뷰

사마라 위빙   유다 르위스   에밀리 엘린 린드   하나 매 리   벨라 손   레슬리 빕   로비 아멜   맥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