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약왕, 욕망은 거품이다.(권력, 돈) THE DRUG KING, 2017 결말 해석 후기 리뷰

마약왕

THE DRUG KING, 2017

 

 

<<개인평가>>

 

욕망은 거품이다.

 

금세공에서 금밀수를 해간 이두삼은 판을 키워 마약제조와 유통으로 일본과 국내를 장악하게 되는데..

 

“전화 한통 넣을 수 있는 빽이 필요하다.” 언급이 주제를 드러냈다 볼 수 있다.

 

 

1.권력(독재)/마약/돈=욕망, 동생

 

두삼이 위험을 무릅쓰면서까지 마약사업에 매진했던 것은, 벌어들인 일부를 권력에 상납해 그들의 비호를 받기 위함이었던 것, 다시 말해 돈이 곧 권력이란 생각으로 마약사업에 매진했던 것으로, 두삼은 이것이 미래라 여겼으나, 과연(마약=권력이 미래?) 그러했을까..?

 

마약사업에 매진하며 살인을(손에 피를 묻히는 타락) 저지르게 된 것은 물론 애초 마약에 손을 대지 않겠다던 생각과 달리 마약에 중독되어간 두삼의 모습은, 돈/권력의(욕망) 중심으로 갈수록 더러운 욕망에(살인/마약중독) 물들어 타락해갔단 비유이며, 돈/권력이 있었을 땐 옆에 붙어 아부하던 이들이 그 권력의 끈이 떨어지자 언제 그랬냐는 듯 자신만 살고자(생존본능=가장 밑바닥의 욕망) 서로를 물고 뜯게 되면서 정작 도움을 필요로 할 땐 두삼의 곁에 아무도 없었다는 것은, 욕망의 비열함이자 공허함을 드러낸 것으로, 두삼이 바라본 욕망은 미래가 아닌 절망이었단(빠지고 나면 아무것도 없는 거품) 의미가 되는 것이다.

 

두삼의 동생인 두환이 마약중독자로 타락해간 것(두삼이 좇은 욕망의 또 다른 결과물), 형아우하던 사이였으나(돈으로 얽힌 공허함) 위협이 되자 순평을 제거하게된 두삼, 영화의 배경이 박통의 유신독재와(권력) 맞물리게 된 것은 주제를 뒷받침한다 볼 수 있다.

 

 

2.집=내면, 망상/공허함=욕망

 

굉장히 호화롭고 많은 이들이 들락거린 두삼의 대저택이었으나 권력의 끈이 떨어진 뒤에는 식물이 죄다 말라죽고 찾는 이 하나 없었다는 것은, 두삼이 좇은 욕망이(돈/권력) 유일한 버팀목인 가족마저(사랑) 등지게 함으로써, 그 자신을 절망으로(고립=기댈 곳 없는 절망) 내몰았다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집은 욕망으로 공허해진 두삼의 내면을 강조한 것...

 

이 공허함을 잊고자 계속해 마약을 찾게 되면서 망상에(자신만의 세계=고립=절망) 빠지게 된 것도, 욕망의 악순환을 강조하는 것이다.

 

 

연출, 배우

 

‘대부’시리즈 속 권력의 위선, 콜롬비아 마약왕을 그린 ‘파라다이스 로스트: 마약 카르텔의 왕’ 속 ‘베니치오 델 토로’ ‘에스코바르’ 속 ‘하비에르 바르뎀’에 비해 스토리와 연기의 퀄리티 차이가 많았다.

대부3(1990) 파라다이스 로스트: 마약 카르텔의 왕(2014)

 

두삼의 몰락과 동일시하는 독재의(권력=욕망) 몰락이 강조되기 위해선, 그 이후 들어선 정권이 청렴했다면 자연히 강조되었겠지만, 자녀들->봉하/영일대군->시리.. 이어지는 권력형비리가 우리 현실이다.


사랑/욕망

http://blog.naver.com/camoju/22110931228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