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프맨
Wolf Man 2025
<<정보>>
‘크리스토퍼 애봇 Christopher Abbott’ ‘줄리아 가너 Julia Garner’ ‘마틸다 퍼스 Matilda Firth’ 등이 출연하고 있다.
연출/각본/기획/댄역 ‘리 워넬 Leigh Whannell’ 아내와도 친한 친구가 운동신경질환으로 고통받다 세상을 떠나게 되었는데, 자신을 잃어가는 환자와 가족들이 느낀 슬픔과 고통을 영화로 옮겨 각본을 완성시켰다.
해외 5.8 평점, 제작비 2천5백만 달러를 투자해, 총3천2백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
<<개인평가 - 두려움보다 강한 사랑(늑대인간, 부성애, 모성애)>>
블레이크는 아빠의 짐을 정리하기 위해 가족과 고향집을 찾게 되는데..
1.고립(블레이크/샬럿=두려움)=욕망(절망), 집=내면, 진저(자녀)=미래
세상을 떠난 아빠 그레이디의 짐을 정리하기 위해 찾은 고향집이 깊은 숲에 자리해 통신차단과 인적이 없어 외부와 단절되었을 뿐만 아니라 늑대인간과 마주해 자녀 진저가 위험에 처해갔다는 것, 이는 미래를 잃어간 블레이크의 절망, 원인은..?
고향집을 찾던 중 늑대인간으로 변한 아비의 공격으로 블레이크까지 감염되어 가족을 위협해갔단 것은 표면적 접근, 본질은 어린 시절 아비의 사랑보다 억압 속에 성장한 트라우마로 일찍이 사이가 멀어져 연락을 끊었던 것에 이어 사랑의 의미 또한 알지 못해 자녀 진저에게도 그 억압된 감정들이 표출되어 두려움을 심어주고 있었단 것, 이는 뿌리 깊게 자리한 트라우마와 내면의 공허함이 블레이크를 넘어 미래인 진저까지 타락.
다시 말해 블레이크는 아빠에게서 비롯된 트라우마로 그 과거에 갇혀 미래인 자녀 진저를 잃어갔던 것으로, 고립된 고향집은 과거에 갇혀 망가진 블레이크의 내면을 투영.
블레이크만..?
기자로 일에만 빠져 지내느라 자녀 진저와 많은 시간 함께하지 못하게 되면서, 엄마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자신에게 의문을 가졌던 샬럿, 이 샬럿도 자신의 존재이유와 함께 미래인 진저를 잃어갔던 것.
큰 틀에선 괴물로 변한 아비 그레이디와 블레이크가 점차 인간의 감정을 잃은 늑대인간이 되면서, 자녀 진저를 위협해갔단 것은, 자녀 진저를 넘어 세상도 늑대인간과 함께 타락, 미래는..?
2.블레이크희생/샬럿믿음=사랑(미래)
마주한 늑대인간으로 가족이 위험에 처하자 블레이크가 자신을 내던진 희생으로 가족을 지켜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늑대인간으로 변한 후에는 가족을 위해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였다는 것, 나아가 엄마가 되는 방법을 몰랐던 샬럿도 자녀를 지켜야 한단 생각 하나로 두려움에 맞서 엄마로서의 존재이유를 찾음과 동시에 끝내 자녀 진저를 지켜냈단 것은, 결국 자녀를 위한 사랑이 블레이크부부를 넘어 진저와 세상의 미래.
엔딩에서 고립된 숲을 벗어나게 된 샬럿과 진저가 생전 블레이크가 가족에게 보여주려 했던 멋진 풍경을 보게 되었단 것, 이는 남편이자 아빠가 남긴 사랑을 마음에 간직하게 되면서, 샬럿과 진저는 미래로 나아가게 되었단 강조.
블레이크가 점차 변해가며 가족과 소통이 불가능한 자신의 세계에 갇혀간단 설정은 나쁘지 않았으나, 샬럿과 함께 사랑의 의미를 찾아 변해가는 과정의 깊이는 아쉬웠다.
#울프맨 #WolfMan
-인물 리뷰
마틸다 퍼스 크리스토퍼 애봇 줄리아 가너 라이언 고슬링 리 워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