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카드카운터, 인생은 빛을 찾는 과정(고문, 도박) The Card Counter, 2021 결말 해석

카드카운터

The Card Counter, 2021

 

<<정보>>

 

커크역 Shia LaBeouf 스케줄로 보류된 후, 감독의 친구인 Nicolas Cage 권유로 ‘타이 쉐리던 Tye Sheridan’ 최종캐스팅.

연출/각본 ‘폴 슈레이더 Paul Schrader’ 메가폰을 잡았다.

해외 6.2 평점, 미국 내 3.9백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

 

<<개인평가>>

인생은 빛을 찾는 과정(고문, 도박)

타락한 삶을 살아온 윌리엄은 자신과 같은 커크를 만나 변하게 되는데..

 

 

1.윌리엄방황(강박/도박)/커크증오=욕망(절망)

윌리엄이 안식처 없이 세상을 떠돌았을 뿐만 아니라 머무는 모텔 방마다 흰 천을 씌워 도청/도촬에 대한 강박을(사회불신) 보여왔고, 또 냉철한 이성과 돈만 중시되는 도박판에 머물러왔다는 것, 이 방황과 강박, 도박판은 윌리엄의 삶이 절망, 원인은..?

상관이었던 퇴역 소령 고르도의 집에도 흰 천이 씌워져 있었듯, 그에게서 많은 기술을 배웠던 윌리엄은 민간수용소에 감금된 포로들을 고문하며 고르도처럼 감정이 없는 괴물로 변해갔을 뿐만 아니라 진실을 은폐하려던 정부에 의해 홀로 모든 죄를 뒤집어쓴 옥살이를 하게 되면서, 윌리엄은 감정을 완전히 잃어 불신에 의한 강박과 방황, 도박판을 전전하며 타락.

윌리엄만 그러했을까..?

고르도 밑에서 고문기술을 배웠던 아비가 가정폭력을 일삼다 끝내 자살까지 하게 되자, 커크는 학업을 포기한 채 평생 자신의 가정을 망가트린 고르도를 향한 복수만 생각해왔다는 것, 이 커크의 학업 포기와 복수 또한 미래를 잃은 방황으로, 윌리엄의 절망과 동일시, 미래는..?

 

 

2.윌리엄희생=사랑(미래), 커크=자아

자신처럼 타락해있던 커크를 만나 차츰 감정을 찾게 된 윌리엄은 자신이 했던 당부와 달리 커크가 고르도를 향한 복수를 버리지 못해 망가지게 되자, 윌리엄은 눈앞에 놓인 거액의 상금을 포기한 채 고르도를 직접 제거해 절망의 굴레 갇혀있던 커크를 자유롭게 했다는 것, 이는 윌리엄이 택한 희생인 사랑으로 또 다른 자아라 할 수 있던 커크의 미래가 존재.

엔딩에서 윌리엄이 린다와 손가락을 맞댄 것은, 비록 몸은 다시 감옥에 갇혀있지만, 내면엔 사랑이 채워져 윌리엄도 행복을 찾았단 강조.

 

 

연출, 배우

윌리엄의 절망을 너무 단순하게 풀어냈단 아쉬움이 있으며, 스스로를 도박판에 가둔 설정은 ‘겜블러’ 비교가능.

겜블러(2014)

#카드카운터 #TheCardCounter

-인물 리뷰

티파니 해디쉬 오스카 아이삭 타이 쉐리던 윌렘 대포 마틴 스콜세지 폴 슈레이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