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위도우
Black Widow, 2021
<<정보>>
나타샤역/기획 ‘스칼렛 요한슨 Scarlett Johansson’ ‘Captain Marvel’ 작품을 포함해 총 9편에서 같은 배역을 소화했다.
옐레나역 Emma Watson, Saoirse Ronan, Alice Englert, Dar Zuzovsky, Florence Pugh 고려되다, 최종 ‘플로렌스 퓨 Florence Pugh’ 캐스팅. 마블경영진은 ‘플로렌스’의 연기를 본 후 옐레나를 향후 시리즈에 합류키로 했다.
연출 ‘케이트 쇼트랜드 Cate Shortland’ 메가폰을 잡았다.
해외 7.3 평점, 제작비 2억 달러가 투자되었다.
<<개인평가>>
존재 이유를 찾아라
어벤져스의 분열로 숨어지낸 나타샤는 동생 옐레나와 함께 레드룸의 실체를 파헤치는데..
1.나타샤자괴감(고립/방황)=욕망(절망), 태스크마스터=자아, 아이=미래, 드레이코브=신
나타샤와 옐레나가 홀로 세상을 떠돌며 숨어(나타샤자매 방황) 지내왔다는 것, 여기서 의지할 곳 없는(혼자였던 나타샤) 고립과 숨어지낸 방황은 나타샤와 옐레나 모두 존재 이유를(나타샤자매의 절망) 잃었단 의미, 원인은..?
나탸사는 가족으로 믿던 어벤져스의 분열, 옐레나도 가족으로 믿어온 레드룸에 쫓겼단 것은(사랑 잃은 옐레나) 표면적 접근, 본질은 어린 시절 부모라 여겼던 멜리나와 알렉세이가 스파이의 삶을 택해(사랑 저버린 멜리나부부) 가정을 버리자, 나타샤와 옐레나는 과거가 모두 부정되어(추억=감정 잃은 나타샤자매) 의지할 곳 없는 고립과 뿌리 잃은(나타샤자매 자기불신) 방황에 놓였던 것이고, 또 레드룸에 의해 킬러로 길러져 행한 수많은 살인으로(나타샤자매 타락) 죄책감에 놓여 과거에 갇혔던(나타샤 트라우마) 것이었으니, 이는 결국 나타샤자매의 내면엔 삶의 희망인(가족 잃은 나타샤) 사랑이 아닌 욕망이 자리해(나타샤자괴감/옐레나고립) 절망에 놓였단 의미.
나타샤와 같은 훈련으로 똑같은 동작을(나타샤처럼 레드룸양성) 보인 옐레나 뿐 아니라 상대의 동작을 그대로 모방하는 능력으로 나타샤까지 복사했던 태스크마스터가 과거 나타샤가 일으킨 사고로 만들어졌단 것(나타샤의 죄책감), 여기서 나타샤를 모방한 옐레나와 태스크마스터는 나타샤의 또 다른 자아이자 레드룸에 의해 망가진 내면의 투영이었던 것이고, 이미 나타샤가 있기 전 부모인 멜리나와 알렉세이도 레드룸에 종속되어(자유 없던 멜리나) 살아왔다는 것, 이는 레드룸과 얽혀있던 과거와 현재(멜리나부부=나타샤자매), 그리고 붙잡혀 양성되고 있던 아이들인(위도우=나타샤자매 운명) 미래가 타락했단 의미.
이를 큰 틀에서 보면, 레드룸의 수장 드레이코브는 약물로 세뇌 시킨 요원들을 세계 곳곳에 심어(드레이코브 권력욕) 세상을 지배하려 했으나, 그로 인해 나타샤와 같은 많은 아이들이 죽고(위도우=미래타락), 또 죄책감에 놓였을 뿐 아니라 친자녀 안토니아까지 괴물로 만들었단 것(드레이코브 미래), 이는 신을 꿈꾼 드레이코브의 끝없는 욕망이 자신과 세상을(희생된 아이들=안토니아 비극) 타락시켰단 의미로, 세상의 절망을 나타샤가족의 절망과 동일시, 미래는..?
2.나타샤믿음=사랑(미래), 비석=모티브
레드룸에 얽혀 절망에 놓인 나타샤가족이었지만, 서로 의지하며 멜리나와 알렉세이는 부모로서의 감정과(사랑찾은 멜리나) 함께 자유의지를, 나타샤와 옐레나는 마음의 안정과 함께(가족찾은 나타샤) 더는 자신과 같은 아이들을 만들지 않기 위해(나타샤자매 존재이유) 드레이코브를 막아 세뇌된 요원들을 해방시켰을(나타샤의 미래구원) 뿐 아니라 나타샤는 자신이 만든 태스크마스터에 용서를 구해 죄책감을 떨쳐냄과(자아 찾은 나타샤) 동시에 다시 어벤져스로 돌아갔단 것은, 결국 방황에 놓였던 나타샤가족과 위도우들은 맞잡은 손처럼 서로를 의지한 사랑으로(영웅 된 나타샤자매, 멜리나/위도우들의 자유의지) 존재이유를 찾았단 의미.
마지막 쿠키영상에서 나탸사의 비석에 ‘자녀, 언니, 어벤져스’ 쓰인 것은, 나탸사가 찾은 존재 이유를 강조한 것이며, 옐레나는 향후 호크아이와 얽혀 어벤져스의 새로운 멤버가 될 것이란 복선.
연출, 배우
감독의 전작 ‘베를린 신드롬’에서 고립을 트라우마로 비유해 심리표현을 했듯, 이번 작품에서도 나타샤가족의 결핍을 드라마로 풀어내며 액션과 적절한 조화를 이루었다.
-인물 리뷰
에버 앤더슨 스칼렛 요한슨 플로렌스 퓨 레이첼 와이즈 올가 쿠릴렌코 라이언 키에라 암스트롱 데이빗 하버 레이 윈스턴 윌리엄 허트 케이트 쇼트랜드
'영화-Movie > 히어로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나는 어떻게 슈퍼히어로가 되었는가, 결말 해석 How I Became a Superhero, 2020 넷플릭스 리뷰 (0) | 2021.07.17 |
---|---|
영화 메이저 그롬: 플레이그 닥터, 복수는 정의가 될 수 없다 Major Grom: Plague Doctor, 2021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1.07.11 |
영화 썬더 포스, 사랑은 완벽이다. Thunder Force, 2021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1.04.16 |
영화 모탈 컴뱃, 존재 이유를 찾아라(핏줄, 자녀) Mortal Kombat, 2021 결말 해석 리뷰 (0) | 2021.04.16 |
영화 맥스 피스트, 희망을 버리지 마라. Archenemy, 2020 결말 해석 리뷰 (0) | 2021.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