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나이트비치 정보 결말 해석 디즈니플러스 출연진, 사랑은 이해다(육아스트레스, 공동육아 분담) Nightbitch 2024

나이트비치

Nightbitch 2024

 

<<정보>>

 

엄마역/제작 ‘에이미 아담스 Amy Adams’ 이름 없이 엄마로 불리는 배역은 주인공이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과 사회의 시점을 드러내는 요소이다.

Rachel Yoder 원작을 기반으로, 연출/각본/제작 ‘마리엘 헬러 Marielle Heller’ 메가폰을 잡았다.

Searchlight Pictures 제작사는 초기 Hulu 스트리밍으로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테스트상영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극장개봉으로 변경했다.

해외 5.6 평점, 총$170,737 수입을 기록했다.

 

<<개인평가 - 사랑은 이해다(육아스트레스, 공동육아 분담)>>

 

예술가였던 엄마는 육아스트레스로 점차 무너지게 되는데..

 

 

1.고립(엄마=육아스트레스/편견)=욕망(절망)

 

엄마가 매일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악몽에 시달렸을 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 엄마와 함께했던 과거를 떠올리게 되었단 것, 이는 현실이 불행했단 반증으로, 점차 미래를 잃어 과거에 갇혀간 엄마의 절망, 원인은..?

특별한 것 없이 매일 아이와 함께 하루를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반복된 일상으로 육아스트레스에 시달렸단 것은 표면적 접근, 본질은 남편의 도움으로 출산 후에도 예술활동을 이어가는 동료와 달리 자신은 독박육아로 더는 예술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자, 엄마가 되기 전에 여성이었던 자신의 모습이자 꿈을 잃게 된 현실을 비관하며 무너졌던 것으로, 결국 현실을 비관한 자괴감으로 엄마는 과거에 갇혀 타락.

엄마만..?

과거 출산으로 가수의 꿈을 포기했던 엄마가 저녁마다 숲을 찾았던 것을 비롯해 육아 커뮤니티에서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던 엄마들을 만나게 되었단 것, 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출산한 모든 엄마들이 똑같은 고통을 되풀이해오고 있었단 것으로, 이 육아스트레스가 엄마 개인을 넘어 가정과 세상 또한 붕괴시켜갔단 강조, 미래는..?

 

 

2.엄마이해(남편/친구)=사랑(미래)

 

아이를 키우게 된 후에야 과거엔 미처 알지 못했던 엄마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 것을 비롯해 똑같은 고민을 해온 엄마들과 많은 대화로 서로의 고통을 나누며 차츰 마음의 안정을 찾게 되었고, 또 자신을 이해 못 했던 남편과의 별거로 조금이나마 자신만의 시간을 갖게 되어 다시 그림을 그리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제야 남편도 육아의 고통을 이해하며 변해 엄마가 자신의 꿈과 가정 모두 지킬 수 있게 되었단 것은, 결국 서로를 의지한 사랑이 엄마를 넘어 세상의 미래.

다시 말해 육아 분담과 같은 서로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불안정한 가정과 함께 미래인 아이들도 무너질 수밖에 없단 강조로, 엔딩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로 다시 합쳐 행복한 가정을 꾸린 엄마의 모습은 주제를 뒷받침.

나아가 엄마의 몸에 많은 털이 자람과 동시에 개로 변해 숲을 뛰어다니게 되었단 것은, 실제 개로 변했단 의미가 아니라 자연 그대로인 숲에서 엄마가 되기 전인 자신의 모습 그대로를 드러내 억눌렸던 자아와 함께 행복을 찾았단 의미로, 과거 엄마가 저녁마다 숲을 찾은 것도 같은 의미(노래를 했을 것..).

 

 

메시지에 비해 단순한 전개로 늘어지는 감이 있었는데, 좀 더 판타지적 요소를 넣어 재미를 주었다면 좋았을 것..

#나이트비치 #Nightbitch #디즈니플러스

-인물 리뷰

에이미 아담스 스쿳 맥네이리 제시카 하퍼 조이 차오 메리 홀랜드 마리엘 헬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