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조이의 탄생 정보 결말 해석 출연진 넷플릭스, 사랑은 이해다(불임부부, 시험관아기 노벨상) Joy 2024

조이의 탄생

Joy 2024

 

<<정보>>

 

‘토마신 맥켄지 Thomasin McKenzie’ ‘빌 나이 Bill Nighy’ ‘제임스 노턴 James Norton’ 등이 출연하고 있다.

연출 ‘벤 테일러 Ben Taylor’ 메가폰을 잡았다.

2010년 진과 패트릭은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기에, 로버트는 홀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해외 7.1 평점 기록하고 있다.

 

<<개인평가 - 사랑은 이해다(불임부부, 시험관아기 노벨상)>>

 

간호사였던 진은 시험관아기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는데..

 

 

1.고립(진/에드워즈/패트릭=편견)=욕망(절망)

 

진이 엄마와 절연했던 것에 이어 다니던 교회에서도 내쫓기게 되었단 것, 이는 안식처를 잃고 고립으로 내몰린 진의 절망, 원인은..?

세계 최초로 시험관아기 프로젝트를 진행하자, 종교계와 의학계, 언론 모두 윤리 문제를 지적해 진을 마녀와 같은 존재로 여기게 되었단 것은 표면적 접근, 본질은 진도 다른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가정을 갖고 아이를 낳아 기르는 평범한 삶을 꿈꿨지만, 자궁내막증으로 아이를 갖지 못해 평범한 꿈마저 잃게 되면서, 현실을 비관한 자괴감으로 점차 타락.

진만..?

의학계와 여론의 질타로 점차 무너졌던 생물학자 에드워즈를 비롯해 자신의 선택이 불임부부에게 또 다른 헛된 희망이 되지 않을까 우려했던 산부인과의 패트릭, 이들도 진과 같은 절망.

큰 틀에선 많은 부부들이 아이를 갖고 싶어도 불임으로 아이를 갖지 못하는 상황으로 시험관아기를 유일한 희망으로 여겼지만, 교회와 정부, 세상 사람들이 이들 모두를 비난하고 나섰단 것, 이는 불임부부들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한 세상의 편견이 이들을 또 다른 고통으로 내몰았단 것으로, 진일행의 절망과 동일시, 미래는..?

 

 

2.진이해(부부/의료진)=사랑(미래)

 

세간의 비난으로 프로젝트는 여러 번 좌초될 위기를 맞았지만, 자녀의 고통을 뒤늦게 알게 된 엄마가 진의 선택을 지지하고 응원하게 되면서, 진은 다시 일어서 프로젝트를 해나갈 수 있었고, 누구보다 불임부부의 고통을 잘 알고 있던 진의 응원으로 부부들도 힘을 내게 되면서, 또 의료진 에드워즈와 패트릭도 다시 힘을 내 모두 불가능하다 여긴 프로젝트를 성공시켰단 것은, 결국 서로를 의지한 사랑이 진을 넘어 세상의 미래.

훗날 에드워즈가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자신처럼 고통받는 이들에게 희망을 주려 했던 진의 끈기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이룬 성과가 많은 불임부부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어갔단 것은, 편견이 아닌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랑이 모두의 미래가 되어갔단 강조.

 

 

실화인 진의 삶을 통해 희망을 이야기한 메시지가 감동을 주기에 충분했다.

#조이의탄생 #Joy #넷플릭스

-인물 리뷰

토마신 맥켄지 빌 나이 타냐 무디 제임스 노턴 찰리 머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