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라스트 나잇 인 소호, 나만의 길을 찾아라(빛과 그림자) Last Night in Soho, 2021 결말 해석

라스트 나잇 인 소호

Last Night in Soho, 2021

 

<<정보>>

 

Diana Rigg, Terence Stamp, Rita Tushingham, Margaret Nolan 출연진은 배경이 되는 1960년대 활발히 활동했던 배우들인데, ‘다이아나 리그 Diana Rigg’ 2020년9월10일, ‘마가렛 놀런 Margaret Nolan’ 2020년10월5일 세상을 떠나 마지막 유작이 되었다.

연출/각본/제작 ‘에드가 라이트 Edgar Wright’ ‘Don't Look Now (1973)/Repulsion (1965)’ 영감을 얻어 작품을 만들었다.

영화는 COVID-19 팬더믹 당시 촬영되었으며, 엔딩에서 텅 빈 거리는 실제 봉쇄 상태에서 찍은 영국거리였다.

해외 7.3 평점, 제작비 4천3백만 달러를 투자해, 미국 내 1천만/총1천9백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

 

<<개인평가>>

나만의 길을 찾아라(빛과 그림자)

디자이너의 꿈을 이루기 위해 런던을 찾았던 엘리는 과거 샌디의 삶을 경험하며 점차 변하게 되는데..

 

 

1.자괴감(엘리악몽/샌디살인/엄마자살)=욕망(절망), 건물=내면, 낮밤=빛과그림자

엘리가 60년대풍의 하숙집에 머물면서부터 꿈이 아닌 과거 샌디의 비극을 경험하는 악몽과 환영에 시달렸다는 것, 이는 엘리가 꿈을 잃었단 의미인 동시에 샌디처럼 머리를 염색했듯, 엘리는 자신을 잃었단 의미, 원인은..?

자신과 엄마의 못다 이룬 꿈을 이루기 위해 런던을 찾았던 엘리였지만, 자신을 시기/질투하며 따돌린 친구들로 현실을 비관하는 자괴감에 놓여 기숙사가 아닌 비밀을 간직한 하숙집을 찾았다, 악몽과 환경에 시달리며 자신을 잃어간 것이고, 과거 가수의 꿈을 안고 런던을 찾았던 샌디는 그 꿈이 짓밟힌 거리의 여성이 되면서 살인과 함께 타락했던 것, 나아가 꿈을 찾아 런던으로 향했던 엘리의 엄마가 끝내 자살을 택했던 것도 같은 이유였던 것이기에, 결국 어디에도 의지한 못한 채 고립되었던 내면의 자괴감이 이들 3인을 방황과 자살, 살인으로 망가트린 것.

60년대에 머물러 있었던 하숙집은 외부와 단절된 채 망가진 샌디와 엘리의 내면을 투영한 것, 모든 불행이 밤에 발생했다는 것은, 미국의 할리우드처럼 많은 이들이 꿈을 이루기 위해 찾는 런던이지만, 화려함 그 이면엔 욕망에 찌든 타락한 면도 있단 의미로, 낮과 밤을 통해 대도시이자 인간 내면의 빛과 그림자를 비유.

엘리의 미래는..?

 

 

2.엘리자존감(존믿음/샌디이해)=사랑(미래), 머리=모티브

엘리 혼자였다면 샌디가 만든 악몽과 환영에서 헤어나지 못해 똑같은 비극을 맞았겠으나, 곁에서 의지가 되어준 존을 통해 자신을 찾았을 뿐만 아니라 같은 처지였던 엘리와 샌디가 서로를 이해한 사랑으로 감싸 안으며, 샌디는 과거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엘리는 자존감을 찾아 자신의 꿈을 이루게 되었단 것은, 결국 의지가 된 사랑으로 엘리와 샌디는 미래를 찾은 것.

엔딩에서 엘리가 원래의 머리로 염색을 한 것은 잃었던 자신을 찾았단 비유, 샌디에 대한 영감으로 무대를 꾸민 것은, 못다 이룬 엄마와 샌디의 꿈을 자신을 통해 이루게 했단 강조.

 

 

연출, 배우

메시지와 비유는 나쁘지 않았으나, 엘리가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의 깊이와 엄마에 대한 의미부여가 좀 더 있었다면 좋았을 것.

#라스트나잇인소호 #LastNightinSoho

-인물 리뷰

토마신 맥켄지 안야 테일러 조이 다이아나 리그 리타 터싱햄 테렌스 스탬프 맷 스미스 샘 클라플린 펠프스형제 에드가 라이트

 

https://youtu.be/oUx1ljKhGo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