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터벨룸
Antebellum, 2020
<<정보>>
‘자넬 모네 Janelle Monae’ ‘지나 말론 Jena Malone’ ‘키어시 클레몬스 Kiersey Clemons’ 등이 출연하고 있다.
‘제라드 부시 Gerard Bush’ 꾸게 된 악몽이 단편 소설로 좋은 소재라 생각해오다, ‘크리스토퍼 렌즈 Christopher Renz’ 함께 각본작성 후, 공동연출/제작에 참여했다.
해외 5.5 평점, 제작비 1천5백만 달러를 투자해, 미국 내 4백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
<<개인평가>>
사랑이 있기에 미래가 있다.
남부군에 붙잡혀 노예 생활을 하게 된 베로니카는 탈출의 기회를 찾게 되는데..
1.편견(증오/돈)=욕망, 언어=감정교류, 아이(자녀)=미래
흑인을 인간이 아닌(증오) 소유물로 여기며, 노동력을 활용해 목화씨 재배로 돈벌이를 해왔던 남부군은 그 노예제가 미국의 미래라 여겨 흑인의 인권 말살과 함께 전쟁을 벌였던 것, 과연 미래..?
흑인들이 서로 말을 못 하게 입을 틀어막고(고립시키다), 자유를 억압해 왔다는 것, 여기서 말은 감정교류, 통제는 자유가 없는 절망으로, 흑인들은 감정을 잃은 채 절망에 놓였단 의미, 이 억압 속에서 줄리아가 뱃속 태아를 잃어 자살까지 하게 되었다는 것, 이 태아는 모두의 미래로, 남부군이 미래라 여겨 행했던 학살은 상대뿐 아니라 자신들 또한 손에 피를 묻혀(흑인, 태아까지 죽이다) 타락했단 의미.
이런 절망 속에 놓였던 베로니카가 그 절망을 견디며, 끝내 그 지옥을 벗어날 수 있던 원동력은, 벽에 새긴 자녀의 그림을 보고 만지며 버텨냈듯, 자녀가 있는 가정으로 돌아가겠단 희망을 품었기 때문으로, 베로니카는 남부군과 달리 사랑을(자녀와 가족) 바라보며 미래로(인종차별의 과거에서 벗어나다) 나아갔단 의미.
영화의 메시지는 이러한데, 반전은 무엇을 의미..?
2.고립(과거)=욕망, 나비=영혼
인종차별주의자들이 자신들의 뜻을 펼치려 한정된 공간에 머물러왔다는 것, 이 한정된 공간은 세월이 흘렀음에도 아직 노예제가 있던 그 날에 머문 고립된 사고의 비유로, 인종차별주의자들은 흑인을 향한 편견/증오로(욕망) 미래로 나아가지 못한 채 과거에 갇혔단 의미, 즉 인종차별 자체가 자신과 사회를 갉아먹는 시대착오적 생각이었단 강조.
반대로 분열된 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던 모두의 미래는, 베로니카가 바라본 사랑처럼, 나와 다름을 인정하는(상대에 대한 이해) 사랑이었단 의미.
베로니카에 빗대어 자주 등장한 나비는 영혼의 상징으로, 죽어간 베로니카의 영혼은 사랑으로 미래 찾았단 강조.
연출, 배우
엔딩의 반전은 ‘빌리지’를 떠오르게 했으며, 베로니카의 심리 변화를 좀 더 깊이있게 다루지 못해 아쉬움.
-인물 리뷰
자넬 모네 지나 말론 키어시 클레몬스 가보리 시디베 잭 휴스턴
'영화-Movie > 공포/범죄/스릴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녹턴, 욕망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 Nocturne, 2020 아마존 결말 해석 후기 리뷰 (0) | 2020.10.15 |
---|---|
영화 블랙박스, 그릇된 사랑은 더러운 욕망이다. Black Box, 2020 아마존 결말 해석 후기 리뷰 (0) | 2020.10.15 |
영화 더 링크 더 바인딩, 악마는 공허함을 노린다. The Binding, Il legame, 2020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0.10.05 |
영화 파라메딕 앙헬, 욕망은 눈을 멀게 한다. El practicante, The Paramedic, 2020 넷플릭스 결말 해석 리뷰 (0) | 2020.09.30 |
영화 디 오너스 더 오너, 욕망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 The Owners, 2020 결말 해석 리뷰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