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라이트하우스
The Lighthouse, 2019
<<정보>>
토마스역 ‘윌렘 대포 Willem Dafoe’ 에브라임역 ‘로버트 패틴슨 Robert Pattinson’ 첫 촬영시 거의 대화를 하지 않았으며, 까다로운 기상조건으로 지쳐 함께 어울리지도 못하다, 몇 달 후 대화를 하면서 서로에 대한 호감을 드러냈다고 한다.
연출/각본/제작 ‘로버트 에거스 Robert Eggers’ 메가폰을 잡았다.
영화는 실제 있었던 1801 "The Smalls Lighthouse Tragedy" 비극에 기반하고 있다.
해외 8.0 평점, 미국 내 1천만 달러/총1천2백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
<<개인평가>>
욕망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
4주간 교대로(고립감이 심리에 미치는 요인으로) 등대를 지켜야 하는 등대지기 토마스와 에브라임은 폭풍우로 그 섬에 갇히게 되는데..
“등대는 내 것이다.” 언급이 주제를 드러냈다 볼 수 있다.
1.고립(섬/폭풍우)/술/악몽/성욕/불신(거짓)/증오/헛된희망=욕망, 집=내면
머물기로 했던 기간은 4주였으나, 몰려온 거센 폭풍우로 남은 식량을 걱정하며 기약 없이 섬에 갇힌 것은(고립=절망) 물론 그 섬에 머물게 된 첫날부터 술에(욕망) 절어 망상과(혼자만의세계) 악몽(꿈/미래잃다), 성욕에(욕망) 빠져 지낸 것, 이는 그 섬을 지옥으로(고립/술/악몽/성욕..=욕망이들끓는) 비유한 것이자, 그곳에 머물던 토마스와 에브라임의 내면을 비유한 것인데, 둘의 내면엔..?
참고로 섬, 등대지기에 대한 설정은 ‘키퍼스 더 배니싱/콜드 스킨/파도가 지나간 자리..’ 그려진 흔한 비유이며, 이해가 쉽도록 불교를 통해 바라보면, 식욕/수면욕/성욕이(기본3욕) 존재하는 인간세를 욕계라(지옥) 부르기도 한다.
키퍼스 더 배니싱(2018) 콜드 스킨(2017) 파도가 지나간 자리(2016)
이미 오랜 기간 가정을 등진 채(안식처=사랑잃다) 술에 절어 등대지기로 살아오며, 그 등대를 독차지하려 살인까지 했던(타락) 토마스, 함께하던 동료를 죽인 뒤 그의 신분으로(거짓=욕망) 살아왔던 에브라임, 이에 그친 것이 아닌 각자의 거짓이 드러나 서로를 불신/증오하며(욕망), 다시 상대를 죽이려다 함께 타락해갔단 것은(토마스/에브라임비극) 욕망의 파멸성을 드러냈다 볼 수 있다.
좀 더 본질적으로 보면, 어두웠던 등대의 바닥면과 달리 빛이 존재하던 윗면은 타락한 인간세상과 신들이 머무는 미래를(천국) 비유했다 볼 수 있는 것으로, 토마스와 에브라임은 그곳에 가는 것이 미래라 여겼으나, 그 빛을 독차지하려다 둘 다 살인을 저지르며 비극적 최후까지 맞았다는 것은, 둘에게 그 빛은 헛된 희망일뿐이었단 의미인 것, 다시 말해 장소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면에 무엇을 품느냐에 따라(욕망을 품었던 토마스/에브라임) 세상이 지옥과 천국이 된단 의미이다.
토마스, 에브라임과 함께 엉망이 되어간 집도 타락한 내면의 강조라 볼 수 있다.
엔딩에서 에브라임의 최후가 프로메테우스의 형별을 떠오르게 했다는 것, 또 토마스가 프로메테우스에 대해 언급을 했고, 둘이 바라본 등대가 헛된희망이었다는 것, 이 의미는..?
2.불(희생)=사랑, 판도라의상자=헛된희망
제우스가 감춘 불을 인간에게 내준 프로메테우스 덕분에 인간은 어둠에서 벗어날 수(빛=미래) 있었는데, 이 불을 단순히 문명으로 보면 현대문명이 인간을 고립으로(절망) 내몰고 있듯 모순이 존재하나, 그것이 아닌 자신의 형벌을 알았음에도(프로메테우스=먼저 아는 자) 기꺼이 인간에게 불을 내어준 것은 희생=사랑이었던 것으로, 인간은 프로메테우스가 일깨워준 따뜻한 사랑으로(불/빛의 따뜻함=우리라는 사랑) 미래로 나아갈 수 있었단 의미이다.
즉 인간의 미래는 사랑이었음에도(프로메테우스가 전한) 토마스와 에브라임은 그것을 망각한 채 욕망을 좇아(술/성욕/증오/살인..) 타락해갔단 의미이다.
이와 더불어 토마스를 믿었지만 비밀상자 속에 들었던 업무일지를 확인하곤 증오에 사로잡혔다는 것, 또 앞선 언급처럼 열쇠를 따고 올라가야 했던 등대가(빛) 둘의 구원이 되지 못했단 것은(헛된희망), 프로메테우스와 연관 있고 모든 재앙이 빠져나온 뒤 헛된희망만 남았던 판도라의 상자를(토마스/에브라임이 바라본) 비유했다 볼 수 있다.
연출, 배우
기본적으로 섬이(고립) 갖는 의미,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의 상자에 대해 이해하고 보면 흥미가 있을 것이며, 이런 전위적 느낌을 좋아하면 ‘로버트 에거스’ 감독의 전작 ‘더 위치’도 찾아볼 만할 것이다.
참고로 ‘리들리 스콧’의 ‘프로메테우스’에선 인간을 창조해낸 존재를 프로메테우스, 에이리언을 판도라의 상자, 모든 것을 뒤늦게 알게 된 인간을 에피메테우스로(나중에 아는 자=프로메테우스의동생) 비유하기도 했다.
영상리뷰
-인물 리뷰
'영화-Movie > 공포/범죄/스릴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고스트 스토리 Ghost Stories 넷플릭스 결말 해석 후기 리뷰 (0) | 2020.01.03 |
---|---|
영화 아이 씨 유 I See You 결말 해석 후기 리뷰 (0) | 2020.01.02 |
영화 작전명 비스트 Beast of Burden, 2018 결말 해석 후기 리뷰 (0) | 2019.12.25 |
영화 늑대의 아이들 Wilkolak, Werewolf, 2018 결말 해석 후기 리뷰 (0) | 2019.12.25 |
영화 러시안 브라이드 The Russian Bride 결말 해석 후기 리뷰 (0) | 201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