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큐어, 욕망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 A Cure for Wellness (2016) / 영화 결말 해석 후기 리뷰

더 큐어

A Cure for Wellness (2016)

 

 

<<정보>>

‘미아 고스 Mia Goth’ ‘데인 드한 Dane DeHaan’ ‘제이슨 아이삭스 Jason Isaacs’ 출연하고 있다.

 

연출/각본/제작 ‘고어 버빈스키 Gore Verbinski’ 메가폰을 잡았다.

 

영화는 Hechingen, Germany 지역 내 Castle Hohenzollern(전 병원 복합단지 일부) 촬영되었으며, WW1 1차대전 당시 Adolf Hitler 히틀러를 비롯한 부상병들이 치료받은 바 있다.

 

해외 6.5 평점, 제작비 4천만 달러를 투자해, 미국 내 8백만/총2천6백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

 

<<개인평가>>

 

욕망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

 

성공에 목마른 록하트(데인 드한)는 합병성사를 위해 스위스 알프스 요양원에 머물고 있는 CEO를 찾게 되는데, 영화는 이를 통해 ‘욕망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난 아버지 없이 자랐다.” 록하트의 언급이 영화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드러냈다 볼 수 있는 부분이다.

 

 

1.오프닝시퀀스/어항 속 물고기=욕망은 거품이다(몽타주효과), 사슴=록하트

 

높이 치솟은 고층건물(신이 되고자 하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 회사 내 올해의 사원으로 선정된 후 다시 타이틀을 따기 위해 가정(사랑)을 뒤로한 채 일에 몰두하다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난 남성과 어항 속 물고기를 오버랩 시킨 것, 이는 앞과 뒤가 같다는 몽타주효과로써, 남성은 물고기처럼 자신이 바라보던 세상=욕망이 전부라는 착각 속에 살아왔다는 의미, 다시 말해 사랑보다 욕망을 우선시하던 그의 삶은 빠지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거품(무의미)과 같다는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뒤를 이어 등장한 록하트는 달랐을까..?

 

어머니(사랑)의 생신보다 일(욕망)을 우선시했다는 것은, 그 또한 욕망의 노예였다는 의미이며, 알프스 요양원을 찾았다 사슴을 치게 된 사고로 그곳에 갇히게 되었다는 것, 이 사슴은 약육강식 속 약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욕망에 의한 무의미한 희생, 즉 욕망에 의해 죽어갈 록하트에 대한 복선을 의미했다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왜 천국처럼 비춰진 요양원이 욕망을 상징했다 볼 수 있을까..?

 

 

2.고립/현실부정(허상)/불면증/혈통/영생/뱀장어=욕망, 지하/다크워터=깊은내면, 한나의 맨발, 아이/초경=순수성/사랑

 

산꼭대기(고층건물처럼 신이 되고자하는 욕망을 의미)에 있어 사람들의 손길이 닿지 않았던 것은 물론 전화와 인터넷이 전혀 터지지 않았다는 것, 이 외부로부터의 고립은 그 누구에게도 의지할 곳 없는 혼자만의 세계=욕망을 상징했다 볼 수 있는 것이고,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는 물이 식수로 부적합했다는 것은 물 자체가 생명유지(사랑)가 아닌 인간을 죽음으로 내모는 욕망을 의미, 나아가 그 곳을 관리감독하던 이들이 순혈통/영생(욕망)에 집착해왔다는 것은, 그 요양원은 천국처럼 비춰진 외면(허울)과 달리 욕망만이 들끓는 지옥과 다르지 않았단 의미를 드러냈다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흰백색의 옷(화이트컬러범죄)과 숨겨진 깊은 속내를 의미하는 지하엔 추악한 진실이 있었고, 그 속을 알 수 없던 다크워터는 겉과 속이 다른 위선=욕망을 강조한 것으로, 위 의미를 뒷받침 한다 볼 수 있다.

 

이 지옥을 찾은 뒤 전혀 벗어날 생각을 하지 않았던 노인들의 모습은,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음(희망이 없다)에 따라 죽음/욕망에 가까워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나, 본질적으로는 늙고 초라해진 자신에 대한 현실부정(거짓)인 것, 즉 이 현실부정=허상(욕망)에 종속된 나머지 그 곳을 영영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들에 비해 젊었던 록하트가 그 지옥에 매몰되어갔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앞서 언급했듯 일(욕망)에 미쳐있었던 것은 표면적 의미인 것이고, 그 근본적 이유를 보게 되면, 어린 시절 눈앞에서 아버지의 자살(사랑을 잃다)을 목격한 데 따른 트라우마(현실부정), 이 현실부정=욕망속에 살아오게 되면서 그는 미래를 바라보지 못한 채 평생 과거의 절망 속에 갇혀있었던 것이다. 록하트의 불면증은 그에게 꿈=사랑이 존재하지 않았단 비유인 것...

 

절망에 놓여있던 것은 이들 뿐이었을까..? 어린 시절 말문을 닫았었던 한나(미아 고스), 여기서 말/언어는 내면의 소통수단인 감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녀 또한 내면에 존재해야할 사랑은 사라지고 욕망 속에 놓여있었단 의미, 나아가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이었다는 것은(기본적으로 삶의 방향성을 상징), 삶의 방향성을 잃은 채 과거의 절망 속에 갇혀 헤매고 있었단 비유인 것이고, 본질적으로는 그 아비의 끝없는 욕망이 자신은 물론 자신의 미래를 상징하는 자녀까지 타락시켜갔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욕망을 상징하는 것으로는 뱀이나 독거미가 있는데, 이 작품에선 뱀장어로 그려지게 된다.

 

어린 아이가 뱀장어 속에서 생존했던 것과 초경을 하게 된 한나를 공격하지 않았던 것, 이는 더러운 욕망에 때 묻지 않은 아이=순수성(사랑)/생명을 잉태할 수 있는 사랑 앞에 욕망은 무기력하단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록하트는 어떻게 이 지옥을 벗어날 수 있었을까..?

 

 

3.오르골=모티브

 

그간 바라봤던 현실부정(허상)=욕망이 아닌 아버지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진실(순수성)=사랑을 바라보게 되면서, 록하트는 그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엔딩서 일(욕망)이 아닌 한나(사랑)를 택하게 되면서 그녀와 함께 그 지옥을 벗어나게 되었다는 것은, 결국 과거의 절망/욕망을 이겨낼 수 있는 유일한 힘은 사랑이란 것이고, 이 사랑이 있기에 밝은 미래가 존재할 수 있단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처음으로 웃게 된 록하트의 모습은 행복을 찾았단 의미..

 

어머니가 아들에게 주었던 발레리나 오르골은 감성=사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제를 드러낸 모티브로 볼 수 있다.

 

 

 

연출, 배우

 

수많은 비유와 진실에 다가가는 스릴러란 장르에 비해 엔딩이 다소 가벼워져 아쉬웠다.

 

 

욕망은 우리를 병들게 한다.

 

-인물 리뷰

미아 고스   데인 드한   제이슨 아이삭스   수잔느 웨스트   고어 버빈스키

 

+ Recent posts